애아빠로 살아남기

층간소음 위원회 의무 적용 대상 아파트는? 그리고 층간소음 위원회 민원 신청 및 해결 절차, 분쟁이 해결이 되지 않았을 시 피해자가 취할 수 있는 방법은?

roue 2025. 4. 8.
반응형

층간소음 문제는 공동주택 거주자 간의 대표적인 갈등 사안 중 하나이며,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‘층간소음 이웃사이 서비스’, 공동주택 층간소음 분쟁조정위원회 등을 통해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두었습니다. 최근에는 층간소음 위원회 설치 의무화도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. 질문하신 내용을 항목별로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1. 층간소음 위원회 의무 적용 대상 아파트는?

2022년 5월 1일부터 시행된 "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" 개정안에 따라:

  • 300세대 이상 아파트
    '층간소음관리위원회'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.
  • 150세대 이상 300세대 미만 아파트
    입주자 등의 의결을 거쳐 자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.
  • 층간소음관리위원회는 관리주체, 입주자대표회의, 전문가 등으로 구성되며, 층간소음 갈등 예방, 조정, 중재 등을 담당합니다.

✅ 2. 층간소음 민원 신청 및 해결 과정

층간소음 문제 발생 시 일반적인 해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:

당사자 간의 자율 해결 시도

  • 초기에 이웃 간 직접 대화로 문제 해결 시도.
  • 문 앞에 메모 남기기, 경고문 부착 등의 방식도 활용됨.

관리사무소 또는 층간소음위원회 신고

  • 관리사무소가 중재자로 나서 경고 및 안내 조치.
  • 위원회가 설치된 경우, 조정 및 회의 개최 가능.

‘층간소음 이웃사이 서비스’ 신청 (한국환경공단)

  • 무료 서비스.
  • 소음 측정 전문가가 방문해 소음 측정상담 제공.
  • 단, 법적 강제력은 없음.
  • 신청 링크: 이웃사이 홈페이지

지자체의 환경분쟁조정위원회 또는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조정 신청

  • 소음 정도가 일정 기준을 넘을 경우, 분쟁 조정 가능.
  •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서 소음 측정 → 감정평가 → 조정 권고 진행.


✅ 3. 분쟁이 해결되지 않을 시 피해자가 취할 수 있는 방법

민사소송 제기

  • 소음 피해에 따른 정신적·신체적 피해 보상 청구 가능.
  • 소음 측정 자료, 영상·음성 증거, 진료기록 등이 필요.

형사 고소

  • 고의적·반복적인 층간소음의 경우 폭행죄, 업무방해죄, 경범죄처벌법 위반 등 적용 가능.
  • 단, 형사처벌은 비교적 드물고, 입증이 어렵기 때문에 제한적임.

지속적인 기록 확보

  • 층간소음 발생 일시, 빈도, 강도, 피해 상황을 기록.
  • 스마트폰 녹음, 소음 측정기 앱, CCTV 등도 보조 자료로 활용 가능.

✅ 참고로, 층간소음 기준 (환경부 기준)

항목주간 (06~22시)야간 (22~06시)
직접충격 소음 43 dB 이하 38 dB 이하
반응형

댓글

💲 추천 글